반응형 업스테이지패스트캠퍼스3 Upstage AI LAB 4기 컴퓨터공학 : 데이터 데이터이진수와 2의 보수컴퓨터는 0과 1만을 이해합니다. 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으며, 그 방법에는 이진수, 2의 보수, 부동 소수점, 문자 집합 및 인코딩이 있습니다. 아래는 각 표현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.이진수이진수: 0과 1로 이루어진 수체계로,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본적인 방법입니다.예: 10진수 5는 이진수로 101입니다.2의 보수2의 보수: 음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. 양수와 음수 모두 이진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예: 10진수 -5는 이진수로 2의 보수 체계에서 11111011입니다.계산 방법:양수의 이진수를 취한다.각 비트를 반전시킨다 (0을 1로, 1을 0으로).그 결과에 1을 더한다.부동 소수점부동 소수점: 실수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.. 2024. 7. 25. Upstage AI LAB 4기 컴퓨터공학 : 명령어 주소 지정 명령어 주소 지정명령어오퍼랜드로 연산 코드를 수행하는 것오퍼랜드: 명령어를 수행할 대상 (데이터). 데이터는 레지스터 이름이나 메모리 주소를 의미하며, 직접 또는 위치를 명시할 수 있다.데이터의 위치를 명시하는 이유명령어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오퍼랜드 필드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: 이 크기는 보통 8비트에서 64비트까지 다양하며, CPU와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(ISA)에 따라 다릅니다.유효 주소연산 코드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주소 지정 방법즉시 주소 지정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오퍼랜드 필드에 직접 명시가장 빠른 주소 지정 + 데이터 크기에 제한직접 주소 지정오퍼랜드 필드에 유효 주소 명시오퍼랜드 필드로 표현 가능한 메모리 주소 크기에 제한간접 주소 지정오퍼랜드 필드에 유효 주소의 주소.. 2024. 7. 25. Upstage AI LAB 4기 컴퓨터공학 : 명령어의 구조 3 명령어의 구조명령어프로그램을 이루는 두 정보명령어 :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실질적인 정보데이터 : 명령어의 대상(재료)명령어의 구성 요소오퍼랜드로 연산 코드를 수행하라오퍼랜드(operand) : 명령어를 수행할 대상. 대상(데이터)이 직접 명시되기도 하고, 대상의 위치가 명시되기도 함.연산 코드(op-code)오퍼랜드로 수행할 동작대상 : 레지스터 이름, 메모리 주소R1 ← M(A): 메모리(M)의 A 번지 값을 연산을 진행할 레지스터 R1으로 옮깁니다.R1 ← R1 + M(B): 메모리의 B번지 값을 R1이 값에 더한다 (더한 값은 R1에 저장한다).R1 ← R1 * M(C): 메모리의 C번지 값을 R1이 값에 곱한다 (더한 값은 R1에 저장한다).M(X) ← R1: 계산이 끝난 R1의 값을 메모리의.. 2024. 7. 25. 이전 1 다음 반응형